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4-23 16:48 (화)
5백개 기업, 부당해고 구제명령 ‘불응’
상태바
5백개 기업, 부당해고 구제명령 ‘불응’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7.10.18 1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동자 보호 위한 제도 정비 시급

노동위원회(노동위)가 근로자에 대한 부당해고 구제명령을 내려도 이를 따르지 않는 기업이 503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기업들은 수 차례 구제명령과 이행강제금 부과를 통보 받고도 이에 불복,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재심을 신청하거나 법원에 소송을 내 부당해고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서형수(더불어민주당)이 중노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방노동위원회, 중앙노동위원회 등 노동위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부당해고 등에 대한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기업 503곳(사건 516건)에 대해 854회에 걸쳐 총 77억3382만원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했다. 

하지만 노동위가 이행강제금을 부과했음에도 기업이 근로자 원직복직 등 명령을 따른 경우는 15.7%(81건)에 불과했다.

특히 일부 기업들은 복수의 부당해고 판정으로 수차례 구제명령과 이행강제금 부과 통보를 받고도 이에 불복해 중노위에 재심을 신청하거나 법원에 소송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1월 이후 해고자에 대해 금전보상 명령이 내려진 122건을 분류한 결과 임금에 비용과 위로금이 추가 반영돼 보상액이 결정된 사례는 3건(2.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19건(97.5%)은 임금만 반영됐다. 

이 경우 금전보상을 선택한 근로자는 원직복직을 택한 근로자에 비해 임금을 더 적게 받을 수 있다.

임금액 산정 기간을 보면 원직복직은 ‘해고된 날로부터 복직하는 날까지’인 반면, 금전보상은 ‘해고된 날로부터 노동위원회 판정일까지’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불복해 중노위나 법원으로 소송이 이어질 경우 금전보상을 택한 근로자는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 

서형수 의원은 “이행강제금 산정의 경우 사용자의 귀책사유와 책임정도, 구제명령 이행 노력 등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연천소방서, 식당에서 발생한 ‘식용유 화재’ 출장 중이던 소방공무원이 진압
  • 삼성전자, 500만원짜리 ‘마하’ 칩…“AI칩 판도 바꾼다”
  • 양천해누리복지관 20년 “미래의 청사진을 밝히다”
  • 美안보보좌관 “한미일 방위산업 협력 향후 논의 가능”
  • 전남교육청, 글로컬 독서인문교육‧미래도서관 모델 개발 ‘박차’
  • 전남교육청, 초등교사 임용에 ‘다문화인재전형’ 신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