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4-19 14:44 (금)
월세 0.4 상승, 저물가에도 집세는 ‘껑충’
상태바
월세 0.4 상승, 저물가에도 집세는 ‘껑충’
  • 박경순 기자
  • 승인 2020.12.02 0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집세 0.6% 올라…2년7개월 만에 최대 상승
▲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0.6% 상승한 소비자물가지수.
▲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0.6% 상승한 소비자물가지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6%를 기록해 2개월 연속 0%대에 머물렀다.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되면서 저물가 흐름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4차 추가경정예산에 포함된 통신비 지원 효과가 축소되면서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 폭이 축소되고 지난해 기저효과로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다.

특히 집세가 2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 다만 코로나19로 영향으로 국제유가가 내려가면서 전체 물가 상승을 제약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50 으로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0.6% 상승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부터 3개월 연속 1%대를 유지하다가 지난 4월 0%대로 내려앉더니 5월에는 마이너스 물가를 기록했다.

6월 보합을 보인 후 7월부터는 5개월째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 9월 1%대 상승률을 보였으나 10월부터 다시 0%대로 주저앉았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통신비 지원 효과가 대부분 사라지고 지난해 기상여건이 좋아 농산물 가격이 낮았던 것에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다"면서 "2월부터 국제유가 인하로 석유류 하락이 지속되면서 저물가 현상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11.1% 상승했다.

배추, 오이, 무, 상추, 버섯, 콩 등 채소류 가격 상승률이 7.0%로 전월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가을배추·무·계절과일 출하 등으로 가격 상승 폭이 축소됐다.

다만 지난해 가격 상승 폭이 제약된데 따른 기저효과로 농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13.2%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0.54%포인트 끌어올렸다.

돼지고기, 국산 쇠고기 등 가격 상승으로 축산물 물가도 1년 전보다 9.9% 올랐다.

수산물은 1년 전보다 6.1% 상승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밥 소비가 늘면서 음식 재료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공업제품은 전년보다 0.9% 하락했다. 가공식품은 1.6% 상승했으나 휘발유, 경유, 등유, 자동차용 LPG 등 석유류가 14.8% 하락한 원인이 컸다.

석유류는 올해 6월 이후 5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도시가스, 지역난방비 등이 인하하면서 전기·수도·가스 가격도 1년 전보다 4.1% 하락했다.

안 심의관은 "국제 유가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한 달 정도 시차가 있는데 12월에는 석유류가 오를 가능성이 있다"며 "환율이 낮아지면 국내 유가가 떨어지는데 최근 환율 변동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0.4% 상승했다.

공공서비스가 2.0% 하락하며 전체 물가 하락에 0.28%p 기여했다. 4차 추경 예산을 통한 알뜰폰의 통신비 지원이 이달까지 반영하면서 통신비가 3.1% 하락했다. 하지만 통신비 지원이 몰렸던 10월보다는 하락 폭은 축소됐다.

개인서비스는 1.3% 상승했으나 외식 물가는 코로나19 3차 확산 영향으로 0.9% 상승하는데 그쳤다. 동월 기준으로 봤을 때 예년에는 2~3% 상승률을 보였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밥 소비가 늘면서 외식 물가 상승률이 둔화됐다.

집세는 0.6% 오르면서 2018년 4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다만 2018년 6월에도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전셋값은 0.8% 오르며 2018년 12월 이후 최대 상승률을 보였다.

월세는 2016년 11월이후 4년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가 6.9%, 보건이 1.5% 올랐다.

반면 코로나19로 이동을 자제하면서 교통, 오락 및 문화 등이 감소했다.

대면 서비스 업종인 교육도 2.1% 쪼그라들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1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0.1% 하락했다.

지난 10월에 이어 2달 연속 내림세에 머물렀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1% 상승했다. 8월, 9월, 10월에 이어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1.0% 상승했다.

지난 7월 이후 1년4개월 만에 1%대를 회복한 셈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보다 0.6% 오르는 데 그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연천소방서, 식당에서 발생한 ‘식용유 화재’ 출장 중이던 소방공무원이 진압
  • 삼성전자, 500만원짜리 ‘마하’ 칩…“AI칩 판도 바꾼다”
  • 美안보보좌관 “한미일 방위산업 협력 향후 논의 가능”
  • 전남교육청, 글로컬 독서인문교육‧미래도서관 모델 개발 ‘박차’
  • 경기도의회 고은정 의원, 고양 탄현지구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공모사업 선정’ 환영
  • 삼성전자, 삼성스토어 광명소하 그랜드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