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6-02 16:37 (일)
‘2019년 최저임금’ 사업주 불만 역대 최고
상태바
‘2019년 최저임금’ 사업주 불만 역대 최고
  • 박경순 기자
  • 승인 2019.08.25 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업체 규모 작을수록 ‘매우 높은 수준’ 응답 비율 높아
▲ 최저임금 인상액의 적정성 조사.

올해 최저임금 수준(8350원, 인상률 10.9%)에 대해 사업주 74.4%가 높은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저임금위원회가 조사를 시작한 2010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반면 낮은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사업주는 2.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가 지난달 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최저임금 적용효과에 관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9년 적용되는 최저임금 인상액의 적정성에 대해 사업주 46.5%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약간 높은 수준’이라는 응답은 27.9%로 나타났다. 이를 합친 비율은 74.4%다.  

이 실태조사는 지난해 11월 15~30일 2543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반면 ‘약간 낮은 수준’이라는 응답은 1.8%, ‘매우 낮은 수준’이라는 응답은 0.6%로 나타났다. 

나머지 23.2%는 ‘보통’이라고 응답했다.    

높은 수준이라는 응답자 비율 74.4%는 최저임금위원회가 이 조사를 시작한 2010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특히 이 비율은 최저임금이 16.4% 인상된 이후 실시된 2017년 11월 조사 때 68.8%(매우 높은 수준 35.4%+약간 높은 수준 33.4%) 보다 높은 것이다.

이는 2년 연속 두자릿 수 최저임금 인상이 이뤄짐에 따라 누적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앞서 최저임금 7.3% 인상이 결정된 이후 실시된 2016년 11월 조사 때는 높은 수준이라는 응답 비율이 36.2%(매우 높은 수준 12.1%+약간 높은 수준 24.1%)였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이 기업 경영과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매년 11월 최저임금 적용효과에 관한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 

최임위는 이 자료를 매년 7월 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이는 다음해 심의 때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인 만큼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7월 12일 결정된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2.87%) 결정과정에 참고자료로 활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업체 규모별로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을 살펴보면 상용근로자 0인(50.7%), 1~4인(46.4%), 5~9인(45.7%), 10~29인(40.7%), 30~99(40.3%) 등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소규모 영세사업장에서 최저임금 인상액에 대해 더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주는 셈이다.     

최저임금액 수준으로 근로자를 고용한 이유를 물어본 조사에서는 ‘기업이 한계상황에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해당 근로자가 맡는 업무가 단순하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비율이 47.1%, ‘최저임금을 줘도 인력을 구하는데 별 다른 문제가 없어서’ 12.3%, ‘고용하는 근로자가 외국인 근로자라서’ 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용인중앙시장 상인회, 배송실적 허위보고 ‘포착’ 공무원은?
  • 민주당, 전반기 상임위 간사 16곳 내정
  • 이대영 용인시산림조합장, 동탑산업훈장 산림분야·산림조합 발전 유공 수훈
  • 안양도시공사, 착한수레와 함께하는 아름다운 동행
  • 전남교육청 서포터즈 79km 완보…여수세계박람회장 입성
  • 전남교육청, K-에듀 신호탄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29일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