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6-14 13:20 (금)
정부 제3국 감염 가능성에 “조치 검토”
상태바
정부 제3국 감염 가능성에 “조치 검토”
  • 박경순 기자
  • 승인 2020.02.05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검사대상 확대엔 "진단키트 물량 제한돼있어"
▲ 브리핑하는 김강립 차관.
▲ 브리핑하는 김강립 차관.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 겸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은 5일 브리핑에서 “아직 구체적으로 말씀 드리긴 어렵지만 중국 이외의 국가 여행을 통해 감염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지는 사례들이 나왔기 때문에 조금 더 다른 각도에서 다른 위험까지도 고려해 조치를 취해야 되는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입국한 12번째 확진자 사례 이후에도 태국에서 입국한 16번째 확진자, 싱가포르에서 입국한 17번째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중국 외 국가에서의 감염 가능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다만 16번과 17번 환자에 대해 김 차관은 “역학조사 결과도 나와야 되고 관련된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판단할 내용이다. 아직 이 부분에 대해 말씀드릴 단계는 아닌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이 질병을 조기에 예방하고 차단하고 확산을 줄이는데 얼마만큼 기여를 할 수 있느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이외에도 비용 효과성이라는 것도 검토해야 하고 실행 가능성 그리고 실제 적용했을 때 미치는 경제·사회적, 그리고 외교적인 고려도 분명히 해야 된다는 생각”이라며 “이런 다양한 측면의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놓고 판단해야 되는 문제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기관에서 중국 여행력을 확인할 수 있는 ITS(여행자이력정보)에 환자가 상당 수준 발생한 지역 여행력 정보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외 제3국에서 입국한 사람들에 대한 검사 확대에 대해서는 “진단키트는 하루에 검사할 수 있는 물량이 제한돼 있어 위험도가 높다고 예상되는 중국을 다녀온 의심환자에 초점을 맞춰 진행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동해 석유 개발…”중동보다 싸냐가 관건”
  • 전남교육청, 글로컬 박람회서 국제 교육교류 ‘본격화’
  • 제9대 성남시의회 국민의힘 정용한 대표의원 인터뷰
  • 尹대통령 “韓-아프리카 정상회의서 핵심광물 포괄적 협력 기반 마련”
  • 국힘, 거야 독주에 ‘단일대오’ 강조…’혁신 없다’ 지적도
  • 서울 아파트 전셋값 1년내내 상승…매매로 전환 수요 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