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6-02 16:37 (일)
서울시의회 이영실 의원, 서울대공원 종보존과 동물사육 환경 개선 방안 마련 주장
상태바
서울시의회 이영실 의원, 서울대공원 종보존과 동물사육 환경 개선 방안 마련 주장
  • 안희덕 기자
  • 승인 2023.11.08 1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공원 마스터플랜에 응급조치 매뉴얼, 병리 검사대책, 종보존을 위한 수급 계획 담겨 있어야
▲ 이영실 서울시의원.
▲ 이영실 서울시의원.

지난 2년 동안 서울대공원에 있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시베리아 호랑이 3마리가 폐사했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7일 서울대공원을 대상으로 한 제321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대공원의 폐사 동물 부검 및 처리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종보존과 동물 사육 환경의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번 시베리아 호랑이 폐사 원인은 노령이 아닌, 사고사와 병이다. 특히, 병으로 죽은 두 마리 중 한 마리는 태어난 지 1년 만에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이라는 질병으로 죽었고, 한 마리는 평균 수명 반을 넘기지 못하고 폐사했다.

이처럼 폐사 시 명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병리학적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의회에 제출한 병리학적 소견서에는 담당 교수의 서명이 없고, 검안서에도 수의사의 자필 서명조차 없어, 서울대공원의 원인 파악에 대한 안일한 대응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영실 의원은 “서울대공원 마스터플랜에 응급조치 매뉴얼, 폐사시 원인 파악을 위한 병리 검사대책, 종보존을 위한 수급 계획이 담겨 있어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동물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의 종보존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동물원의 동물 사육 환경 개선도 시급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이에 동물들이 자연과 유사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개선하고, 충분한 먹이와 휴식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이 의원의 설명이다.

이영실 의원은 “지난 행감에서 동물복지에 책임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음에도, 지난 여름 폭염에 시민들이 사랑하는 시베리아 호랑이 수호가 돌연사했다”면서 “응급조치를 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대공원의 조치도 적절하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덧붙여 “지금이라도 서울대공원은 동물원의 운영 시스템을 철저히 점검하고,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종보존과 동물 사육 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해 동물복지 실현에 앞장서 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용인중앙시장 상인회, 배송실적 허위보고 ‘포착’ 공무원은?
  • 민주당, 전반기 상임위 간사 16곳 내정
  • 이대영 용인시산림조합장, 동탑산업훈장 산림분야·산림조합 발전 유공 수훈
  • 안양도시공사, 착한수레와 함께하는 아름다운 동행
  • 전남교육청 서포터즈 79km 완보…여수세계박람회장 입성
  • 전남교육청, K-에듀 신호탄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29일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