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6-16 16:36 (일)
서울시의회 이영실 의원 "여의도선착장 불공정 협약, 제2의 남산케이블카 되어선 안돼"
상태바
서울시의회 이영실 의원 "여의도선착장 불공정 협약, 제2의 남산케이블카 되어선 안돼"
  • 안희덕 기자
  • 승인 2023.11.16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천점용료 체납에 대한 대응 위해, 충분한 법적 검토 후 협약 이뤄져야
▲ 미래한강본부 대상 행감 진행하는 이영실 의원.
▲ 미래한강본부 대상 행감 진행하는 이영실 의원.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14 미래한강본부를 대상으로 한 제321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민간사업자와의 협약으로 추진되고 있는 여의도 선착장 조성사업의 협약서에 운영 기간이 명시되지 않았다”면서 “제2의 남산케이블카가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협약서에 운영 기간과 구체적인 귀책사유를 확실히 명시해 줄 것”을 요구했다.

서울시는 2026년 운항 개시를 목표로 서울항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여의도 선착장 조성사업은 서울항 사업의 첫 단계로 한강∼경인아라뱃길 유람선 운항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마련하는 것으로, 민간사업자가 선착장을 조성해 내년 5월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사업 협약서에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어, 불공정 협약으로 점용료 장기·고액 체납에도 대응의 어려움이 있는 서울마리나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의원의 주장이다.

협약서의 중요성은 남산케이블카의 무제한 운영권 독점 논란 사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남산케이블카는 케이블카의 사업허가권이 서울시에 있음에도 허가권 자체를 무기한으로 계약하여, 현재까지 수십 년 동안 독점 운영 중이다.

이영실 의원은 “협약서에 귀책사유 발생 시 하천점용허가 취소가 가능하다는 조항이 있지만, 귀책사유의 내용이 보다 구체적이어야 점용료 체납 등의 문제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다”라며 “또한, 시설에 대한 기부체납을 하는 조건이 아니기 때문에 운영 기간은 더욱 정확하게 명시해야 했다”라고 주장했다.

덧붙여, 유·도선장이 추가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강 시설물에 대한 뚜렷한 기준을 마련해 협약을 진행해야 함을 강조하며, 공공의 재산을 부적정하게 활용하거나 체납 등이 장기화 되는 사례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체계의 고도화를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및 의장단 후보 선출
  • 동해 석유 개발…”중동보다 싸냐가 관건”
  • 제9대 성남시의회 국민의힘 정용한 대표의원 인터뷰
  • 서울 아파트 전셋값 1년내내 상승…매매로 전환 수요 늘어
  • 與 첫목회 “절충형 지도체제 동의 안해”
  • 화성시, 23만명 다녀간 화성 뱃놀이 축제···“내년에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