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6-17 13:38 (월)
담뱃값 인상 5개월 ‘함박웃음’
상태바
담뱃값 인상 5개월 ‘함박웃음’
  • 신다비 기자
  • 승인 2015.06.02 0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담배社-편의점, 매출 증가율 53.5%

정부의 담뱃값 인상 조치 이후 다소 주춤했던 흡연 심리가 되살아나면서 세수증가 혜택을 보고 있는 정부만이 아니라 담배 제조 및 유통 업체도 짭짤한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실적과 주가도 연초부터 최근까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KT&G의 지난 1분기 잠정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에 비해 폭증했다. 매출은 18% 오른 1조1,369억원이었고, 영업이익은 무려 64.7%가 뛴 4,285억 3,500만원이었다.

특히 영업이익의 경우 2013년 1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6.4%였고, 지난해에도 4.5% 증가에 그쳤던데 비해 올해는 담뱃값 인상 덕을 톡톡히 본 셈이다.

이를 반영하듯 KT&G 주가는 종가 기준 연초 7만8,200원에서 지난 29일 9만6,400원까지 올랐다.

담배를 판매하는 편의점도 담뱃값 인상 수혜의 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7일 발표한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년 대비 편의점의 담배 등 기타 부문의 매출 증가율은 담뱃값 인상 직후인 지난 1월 5.3%에 불과했다.

하지만 2월 7.7%, 3월 46.4%로 오른 데 이어 지난 4월에는 53.5%까지 점차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BGF리테일은 지난 1월2일 종가 기준 7만4,400원에서 29일 15만2,500원으로 104.97% 올랐다. GS리테일 역시 같은 기간 2만4,650원에서 3만9,450원으로 60.04% 상승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도 담뱃값 인상에도 불구하고 담배에 대한 수요 변동 폭이 예상보다 적다며 담배 제조, 편의점 업종에 대한 실적과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특히 편의점 업종이 담뱃값 인상 효과와 수요 증가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현대증권 박애란 연구원은 “올 초 내수 담배가격 인상 이후 시장 점유율 흐름과 일회성 이익 반영 여부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다소 사라졌다”며 “담배 회사 이익이 예상보다 빨리 회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초에 담뱃값이 2,500원에서 4,500원으로 오른 지 넉달 만에 6,100억원의 세금이 더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4월 담배로 걷힌 세금은 2조6,200억원으로 지난해(2조100억원)보다 6,100억원 늘었다.

정부는 지난해 담뱃값 인상을 추진하면서 담배 판매로 인한 세수 증가가 올해만 2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및 의장단 후보 선출
  • 제9대 성남시의회 국민의힘 정용한 대표의원 인터뷰
  • 서울 아파트 전셋값 1년내내 상승…매매로 전환 수요 늘어
  • 광주 북구, 과학 기반 가족 소통 프로그램 ‘별밤 캠프’ 운영
  • 송파구, 도시브랜드 관광기념품 시즌2 출시
  • 與 첫목회 “절충형 지도체제 동의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