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6-16 16:36 (일)
박 대통령 하야·탄핵주장 봇물 속 문재인은 몸조심
상태바
박 대통령 하야·탄핵주장 봇물 속 문재인은 몸조심
  • 윤이나 기자
  • 승인 2016.11.07 10: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와 심상정 정의대 대표가 5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성당에서 열린 고(故) 백남기 농민의 장례미사에 참석하고 있다. 2016.11.05.

박 대통령 탄핵·하야 주장 안해
진보·보수 진영대결 피하려는 듯

이른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하야 탄핵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데 대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다른 대선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문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2차 대국민담화가 있었던 4일 "총리 지명을 당장 철회하고, 국회 추천 총리 중심으로 거국중립내각을 구성한 뒤 그 내각에 국정운영 권한을 넘기고, 대통령은 국정에서 손을 떼라"는 요구를 했을 뿐 하야나 탄핵을 주장하지는 않았다. 

5일에도 문 전 대표는 고(故) 백남기 농민 영결식에 참석해 "백남기 선생님께 죄송스럽고 또 백남기 선생님 유족분들께 죄송스럽고 또 이 땅의 모든 농민들께 죄송스러운 심정"이라고만 언급했다. 박 대통령을 겨냥한 발언은 하지 않았다. 

 


이는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성남시장 등 야권의 대선주자들이 박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주장하고 있는 것과 비교되는 행보다. 정치권에서는 문 전 대표가 일부 여론조사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앞서는 지지율 1위 주자로 등극하며 더욱 말을 아끼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부자 몸조심'하는 격이라는 것이다. 

더구나 탄핵을 언급할 경우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 국민적 역풍이 불었던 것을 염두에 두고 있는 듯 하다. 문 전 대표가 현안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개입할 경우 '최순실 게이트' 문제가 자칫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대결로 비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생각도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일 오전 광주 서구 화정동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에서 열리는 제87주년 학생독립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뒤 돌아가기 앞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2016.11.03

이와관련 문 전 대표 측 김경수 의원은 통화에서 "어쨌든 마지막 요구라고 하면서까지 해법을 제시한만큼 이제는 청와대에서 반응을 보여야하는 상황"이라며 "그것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헌정 중단은 정치인으로서 다같이 함께 책임져야 하는 것"이라며 "어쨌든 국가를 책임지겠다는 정치지도자라면 지금의 상황에서 무조건 헌정을 중단하는 게 꼭 답이냐. 아직까지는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떼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총리를 통해서 국정을 다시 정상화시킬 수 있는 길은 남아 있다고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문 전 대표는 당분간 현안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고 청와대의 반응과 여론의 추이를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문 전 대표는 12일 당 지도부가 참여한 가운데 열리는 '당원보고대회(가칭)'에는 참석하는 등 당의 입장과는 보조를 맞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지지율이 높은 후보일수록 사안에 대해서 신중하게 대응할 수 밖에 없다"며 "박원순·이재명 시장 등과 상황이 다른만큼 향후 현안에 대해서도 문 전 대표가 가장 신중한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및 의장단 후보 선출
  • 동해 석유 개발…”중동보다 싸냐가 관건”
  • 제9대 성남시의회 국민의힘 정용한 대표의원 인터뷰
  • 서울 아파트 전셋값 1년내내 상승…매매로 전환 수요 늘어
  • 與 첫목회 “절충형 지도체제 동의 안해”
  • 화성시, 23만명 다녀간 화성 뱃놀이 축제···“내년에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