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4-26 10:29 (금)
경북도‚ 농촌살리기정책포럼 출범
상태바
경북도‚ 농촌살리기정책포럼 출범
  • 안희섭 기자
  • 승인 2019.06.18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불어 잘 사는 농촌’ 실현을 위한 정책 대안 논의
▲ 농촌살리기정책포럼 출범식 기념사진.

경상북도는 18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지방과 농촌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농촌살리기정책포럼’ 출범식을 갖고, 제1차 포럼을 가졌다.

 

이날 출범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수경 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장, 이동필 농촌살리기 정책자문관(前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을 비롯한 농업정책 관계자와 도·시군 담당 공무원, 대학교수, 지역개발 종사자, 청년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현재 경북 농촌은 지방소멸, 저출생·고령화, 불균형 발전이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연 평균 6500여명의 청년들이 학업과 일자리 등의 이유로 타 지역(수도권)으로 떠나고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농촌은 활력이 떨어졌다.

 

아울러 수도권과 지방 간, 도시와 농촌 간 불균형 발전은 지방소멸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지난해 발표에 따르면, 향후 30년 내 소멸 고위험 지자체 전국 10곳 중 7곳(의성, 군위, 청송, 영양, 청도, 봉화, 영덕)이 경북 농촌 지역이다.

 

농촌살리기정책포럼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연말까지 경북 곳곳에서 농촌개발, 지역농업과 6차산업, 귀농·귀촌, 청년 일자리, 농촌 삶의 질 등 다양한 주제의 현장 포럼을 개최했으며, 이를 통해 지역 재생을 위한 아젠다를 발굴하고 소멸 위기에 처한 농촌을 살릴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포럼은 이동필 경북도 농촌살리기 정책자문관과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을 공동 대표로 유관기관과 학계, 농업인 단체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한 운영위원 구성을 마무리했다.

 

이날 출범식에 이어 열린 제1차 포럼에서는 먼저 최양부 전(前) 청와대 농림해양수석비서관이 ‘경북 농촌이 소멸하고 있다’라는 주제로 발표를 시작했다.

 

최 전(前) 수석비서관은 “지방소멸이라는 현실 앞에서 지난 30여년 간 농촌소멸을 막기 위해 추진했던 대책들의 실효성을 냉정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토대로 농촌공간 개조, 청장년 중심의 전문화된 법인 경영체 확대, 미래형 농업 확산 등을 농촌소멸을 막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또한, 송미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소멸 시대, 농촌살리기 실천 전략’이라는 주제로 농촌의 현실과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송 위원은 “사람과 공동체가 어우러진 농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과 일자리 창출 간 선순환 구조 확립, 농촌 3·6·5 생활권 구현, 농촌다움의 복원, 농촌의 문화적 가치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끝으로, 노승복 충남 청양군 마을만들기 지원센터장이 청양군의 마을만들기 사례를 소개하고 마을만들기 지원조례 제정, 전담조직 구성 등 청양군청의 지원체계 정비과정과 주민들의 자치 역량강화 과정을 소개했다.

 

아울러, 행정과 주민을 잇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강조하고 궁극적으로는 주민이 중심이 돼 다양한 민간 조직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전남교육청, 초등교사 임용에 ‘다문화인재전형’ 신설한다
  • 양천해누리복지관 20년 “미래의 청사진을 밝히다”
  • 전남교육청, 글로컬 독서인문교육‧미래도서관 모델 개발 ‘박차’
  • 광주시 ‘2024 광주 왕실도자 컨퍼런스’ 국제적 도자 문화 대열 합류 위해 명칭 변경
  •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개관 15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개최
  • 국립순천대 스마트농업전공 이명훈 교수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 사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