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모바일웹 UPDATED. 2024-04-26 10:29 (금)
분당 차병원 이소영‧차 의과학대 백광현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상태바
분당 차병원 이소영‧차 의과학대 백광현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 최형규 기자
  • 승인 2020.01.28 17: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백질분해효소 관여 신장질환 발생원리 규명
▲ 분당 차병원 이소영 교수(오른쪽)와 차 의과학대학교 백광현 교수.
▲ 분당 차병원 이소영 교수(오른쪽)와 차 의과학대학교 백광현 교수.

분당 차병원 신장내과 이소영 교수와 차 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백광현 교수팀은 단백질분해효소 ‘YOD1’가 ‘Hippo 신호전달’에 관여해 신장질환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신장질환의 새로운 진단키트 및 치료제 개발에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소영‧백광현 교수팀은 신장 섬유화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Unilateral Ureter Obstruction(UUO, 일측성 요관 폐쇄)’ 마우스 모델에서의 신장 크기가 일반 신장 크기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발견했고, 해당 현상이 ‘Hippo 신호전달’과 연관성이 있으리라는 전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Hippo 신호전달은 생체조직의 크기를 결정하고 그 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Hippo 신호전달이 정상적으로 조절되지 않는다면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연구팀은 정상 신장과 UUO모델 신장에서 양적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분해조절 효소를 탐색, Hippo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5가지 단백질조절효소 USP6, USP19, PSMD14, YOD1, USP26를 확인했으며, 이 중 YOD1의 수준에 따라 신장의 크기가 조절되는 기전을 밝혔다.

이는 ‘YOD1’의 수준이 조절되지 못하면 세포의 항상성이 무너져 신장암을 비롯 신장질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 결과는 ‘Hippo 신호전달경로에서 단백질분해조절 효소 YOD1의 NEDD4 단백질 기능 조절(YOD1 Deubiquitinates NEDD4 Involved in the Hippo Signaling Pathway)’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인 ‘세포생리학과 생화학(Cellular Physiology& Biochemistry)’ 1월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지원사업 중견연구과제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이소영‧백광현 교수팀은 YOD1 단백질분해조절 효소를 신장질환 바이오마커로서 국내와 국제특허를 출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 전남교육청, 초등교사 임용에 ‘다문화인재전형’ 신설한다
  • 양천해누리복지관 20년 “미래의 청사진을 밝히다”
  • 전남교육청, 글로컬 독서인문교육‧미래도서관 모델 개발 ‘박차’
  • 광주시 ‘2024 광주 왕실도자 컨퍼런스’ 국제적 도자 문화 대열 합류 위해 명칭 변경
  •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개관 15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개최
  • 국립순천대 스마트농업전공 이명훈 교수 ‘농업신기술 산학협력지원 사업’ 선정